티스토리 뷰
사회복지사 1급 2급 차이 (기본정리)
사회복지사의 비전을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따기에앞서, 사회복지사는 구체적으로 어떤일을 수행하는지 혹은 사회복지사 자격증에 관해 1급 2급 차이는 무엇인지등 좀더 세세한 부분을 알고싶어 하실텐데요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워밍업 단계로 사회복지사 1급 2급 차이를 비롯해 기본개념을 정리해봤습니다. 아래에서 함께해요!:)
사회복지사란?
사회복지에 대한 기술을 가진사람을 뜻하며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자격증을 발급받아야지만 실무를 보게됩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에는 1급,2급 등급이 나누어져있으며 자격증을 취득해야되는 자격조건이 따로 있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필수로 자격증 공부를 하셔야돼요.
사회복지사가 하는일
사회복지사는 복지시설에서 일할수 있습니다. 다양한 계층을 위한 시설이 있는만큼 이부분 또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생각하셔서 도전하신다면 훨씬 좋겠죠. 청소년,노인,아동,여성 등등 복지 분야도 세분화 되어 있기때문에 취업지의 선택폭이 넓으며 취업률이 높은 직업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사회복지가 1급 2급 차이점이 뭔가요?
사회복지사 2급의 경우 사회복지 관련학과 대학을 졸업하신 경우라면 자동으로 취득이 됩니다. 그렇지 않은경우라면 학점은행제를 이용하셔서 학점을 이수하셔야 돼요.
사회복지사 1급은 학사학위 혹은 석사학위 취득예정자나 취득자가 응시가 가능하며 시험 합격률은 30%입니다.
※사회복지사 1급 2급 차이
사회복지사 2급은 필수과목만 이수를 해도 취득이 가능하지만 사회복지사 1급의 경우 국가고시를 응시후 합격해야지만 취득이 가능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복지사 2급의 경우 계약직부터 시작이 가능하구요 사회복지사 1급의 경우 정규직으로 채용될 확률이 더 높습니다. 게다가 사회복지사 1급 취득조건이 2급을 취득한뒤 1년이상의 경력이 있을때 국가고시에 응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지식과 경험면에서도 당연히 더 풍부하다고 볼수있어요.
사회복지사 정년은 몇살까지 일할수있나요?
사회복지센터 같은 경우는 55세가 넘으면 사실상 취업이 어려울수 있습니다. 복지센터는 보조금으로 운영이 되는 기관입니다. 인건비 보조금 지급상한기준에 따라 연령을 넘어서게되면 (종사자의 경우 만60세) 보조금 지원을 못받게된 종사자를 선호하지 않게되기 때문에 정년이 없는 직업이라고 보기엔 어렵습니다.
우리사회의 사각지대에 존재하는 어려운분들을 도와주는 사회복지사는 대표적으로는 복지시설이나 학교, 의료기관에서 다양한 업무와 역할수행을 합니다. 정년이 없다 취업률이 높다 등등의 수식어가 붙는 사회복지사 직업에 대해서 잘못된 정보는 바로잡으며 정리를 해보았는데요, 자격증 취득에 앞서 기본정리를 하신다면 취업을 목표로함에 있어서 좀더 구체적인 방향설정이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사회복지사 1급 2급 차이 (기본정리) 이글이 도움되셨다면 로그인 필요없는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